Category Archives: Network

프록시, 리버스 프록시, 그리고 AJP

현대 웹 서비스는 단순히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직접 소통하는 것을 넘어, 효율성과 보안,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중개 기술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기술의 핵심에는 프록시(Forward Proxy),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 그리고 한때 중요한 역할을 했던 AJP(Apache JServ Protocol)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기술의 역할과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고, 특히 AJP가 현재 어떤 위치에 있는지 집중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 1. 프록시(Forward Proxy):… Read More »

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

IT 네트워크에서 서브넷 마스크는 32비트 숫자로, IP 주소의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어느 부분이 특정 장치를 나타내는 호스트 주소인지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내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고 올바른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의 관계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집니다. IPv4 주소는 xxx.xxx.xxx.xxx 형태의 4개… Read More »

TTL (Time To Live)

TTL(Time To Live)이란 무엇인가? IT 네트워킹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TTL(Time To Liv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작은 값이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TTL은 ‘생존 시간’으로 직역할 수 있으며, IT 네트워킹에서는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 상에서 존재할 수 있는 최대 홉(Hop) 또는 시간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데이터가 너무 오랜 시간… Read More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이란?

CIDR: 인터넷 확장을 이끈 핵심 기술 폭발적인 인터넷 성장으로 인해 IP 주소 고갈 문제가 현실화되면서 이를 해결하고 네트워크 라우팅 효율을 높인 핵심 기술인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이 등장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CIDR의 탄생 배경부터 핵심 원리, 그리고 현대 네트워크에서의 역할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CIDR 등장 이전: 클래스 기반 주소 체계의 한계 초기 인터넷은 클래스 기반 주소 체계를 사용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