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rotbilly

YouTrack

유지보수 업무를 진행하면서 실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많은 팀에서 여전히 엑셀이나 구글 시트를 활용해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소통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 통합과 실시간 추적에 한계가 있으며, 버전 관리의 문제나 정보 누락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더 효율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YouTrack과 같은 전문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

데코레이터 (Decorator)

파이썬 데코레이터 심층 분석 파이썬의 데코레이터는 기존 함수의 소스 코드를 건드리지 않고도 그 기능을 확장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돕는 유연하고 강력한 기능입니다. ‘장식하다’라는 뜻처럼, 함수에 추가적인 기능을 덧붙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데코레이터의 핵심 원리 데코레이터는 본질적으로 다음 세 가지 특성을 가집니다. 데코레이터가 가능한 이유: 일급 객체로서의 함수 데코레이터가 파이썬에서 구현 가능한 이유는 함수가 ‘일급 객체’이기 때문입니다.… Read More »

JavaScript의 모듈 시스템: require vs import

자바스크립트 모듈 시스템: require vs import 자바스크립트는 본래 단순한 웹 스크립팅 언어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의존성을 관리하며, 변수명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체계적인 모듈 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CommonJS의 require와 ECMAScript Modules(ESM)의 import라는 두 가지 주요 모듈 시스템이 등장했습니다. 등장 배경과 특징 require (CommonJS) require는 주로 2009년경… Read More »

Docker를 이용한 MySQL 설치 고려사항

도커를 이용해 MySQL을 설치하는 것은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개발이나 테스트 환경을 구축할 때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충돌할 염려가 없고, 여러 MySQL 인스턴스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도커로 MySQL 설치 시 필수 고려사항 사전 준비 먼저 시스템에 도커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최신 버전의 도커는 대부분 도커 컴포즈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docker-compose.yml 파일 작성… Read More »

init.py 파일의 일반적인 용도 및 포함 항목

파이썬의 __init__.py 파일은 디렉토리를 패키지로 인식하게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파일은 패키지가 불러와질 때 자동으로 실행되며, 패키지 전반에 걸쳐 공유될 설정이나 기능을 정의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__init__.py 파일의 주요 활용법 1. 패키지 식별 가장 기본적인 용도는 단순히 디렉터리가 파이썬 패키지임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내용이 전혀 없는 빈 파일이라도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Read More »

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

IT 네트워크에서 서브넷 마스크는 32비트 숫자로, IP 주소의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어느 부분이 특정 장치를 나타내는 호스트 주소인지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내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고 올바른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의 관계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집니다. IPv4 주소는 xxx.xxx.xxx.xxx 형태의 4개… Read More »

Junie AI coding agent

젯브레인(JetBrains)에서 개발한 주니(Junie)는 단순한 보조 기능을 넘어 개발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인공지능 코딩 에이전트입니다. 기존 AI 어시스턴트가 코드 자동 완성이나 문서 작성 같은 보조적인 역할에 머물렀다면, 주니는 더 폭넓은 작업을 스스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과 특징 주니는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기능으로 개발자의 업무 효율을 높여줍니다. JunieGuideline 예제 JunieAiIgnore 설치 방법 젯브레인 IDE 내에서 주니를… Read More »

TTL (Time To Live)

TTL(Time To Live)이란 무엇인가? IT 네트워킹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TTL(Time To Liv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작은 값이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TTL은 ‘생존 시간’으로 직역할 수 있으며, IT 네트워킹에서는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 상에서 존재할 수 있는 최대 홉(Hop) 또는 시간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데이터가 너무 오랜 시간… Read More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이란?

CIDR: 인터넷 확장을 이끈 핵심 기술 폭발적인 인터넷 성장으로 인해 IP 주소 고갈 문제가 현실화되면서 이를 해결하고 네트워크 라우팅 효율을 높인 핵심 기술인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이 등장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CIDR의 탄생 배경부터 핵심 원리, 그리고 현대 네트워크에서의 역할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CIDR 등장 이전: 클래스 기반 주소 체계의 한계 초기 인터넷은 클래스 기반 주소 체계를 사용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