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rotbilly

가상환경 – virtualenv 사용법

virtualenv를 활용한 파이썬 가상 환경 구축 파이썬 개발 시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각기 다른 라이브러리 버전이 필요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 환경을 사용합니다. 가상 환경은 프로젝트별로 독립된 파이썬 실행 환경을 만들어 의존성 충돌을 방지하고 깔끔한 개발 환경을 유지하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그중 하나인 virtualenv는 다양한 파이썬 버전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Read More »

가상환경 – venv (virtual environment) 사용법

파이썬 개발에서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은 프로젝트마다 독립된 작업 공간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파이썬 3.3부터 기본 모듈로 제공되는 venv는 이러한 가상 환경을 손쉽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가상 환경을 사용하는 이유 가상 환경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venv 사용법 venv는 파이썬 3.3 이상 버전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설치가 필요 없습니다.… Read More »

프록시, 리버스 프록시, 그리고 AJP

현대 웹 서비스는 단순히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직접 소통하는 것을 넘어, 효율성과 보안,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중개 기술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기술의 핵심에는 프록시(Forward Proxy),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 그리고 한때 중요한 역할을 했던 AJP(Apache JServ Protocol)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기술의 역할과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고, 특히 AJP가 현재 어떤 위치에 있는지 집중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 1. 프록시(Forward Proxy):… Read More »

Python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

파이썬 가상 환경: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필수 도구 파이썬에서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은 각 프로젝트를 위한 독립적인 작업 공간을 만드는 핵심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젝트 환경을 깔끔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1. 가상 환경이 필요한 이유 파이썬 개발을 하다 보면 여러 프로젝트에서 다양한 라이브러리(패키지)를 사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Read More »

Markdown 문법

Markdown 마크업 언어 완벽 가이드 Markdown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가벼운 마크업 언어로, 복잡한 서식 없이도 내용을 쉽게 구성하고 꾸밀 수 있습니다. 간결하고 배우기 쉬워 README 파일, 블로그, 문서 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제목(Headings) 제목은 문서의 계층 구조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 기호를 사용하며, #의 개수에 따라 제목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을 하나만 사용하면 가장 큰… Read More »

SEO(검색 엔진 최적화)

검색 엔진 최적화(SEO)의 이해: 개념부터 실전 전략까지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웹사이트가 검색 엔진 결과에서 더 높은 순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광고 없이 자연스러운 트래픽을 늘리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특정 키워드 순위를 올리는 것을 넘어, 잠재 고객이 검색을 통해 손쉽게 웹사이트를 발견하고 방문하도록 기술적, 내용적, 외부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개선하는 포괄적인 활동입니다. SEO의 핵심 가치 SEO는 웹사이트… Read More »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HTTP 상태 코드의 이해 HTTP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요청을 보냈을 때, 서버가 그 요청을 어떻게 처리했는지를 알려주는 세 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응답 코드입니다. 이 코드를 통해 요청의 성공 여부, 발생한 문제의 종류 등을 파악할 수 있어 웹 개발과 유지보수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주요 역할 HTTP 상태 코드의 핵심적인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태 코드의 분류… Read More »

robot.txt 파일의 user-agent 종류

User-agent는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크롤러의 종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문자열로, 다양한 목적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들을 크게 세 가지 범주, 즉 주요 검색 엔진 봇, AI 챗봇/LLM 봇, 그리고 기타 유용한 봇으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봇의 종류는 끊임없이 추가되고 변화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요 검색 엔진 봇 이 봇들은 웹 콘텐츠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Read More »

MCP (Model Context Protocol) 이란?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이해하기 MCP는 Model Context Protocol의 약자이며, 인공지능(AI) 에이전트,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외부 도구와 데이터 소스에 안전하고 표준화된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호작용하도록 돕는 개방형 프로토콜입니다. MCP는 AI가 학습 범위를 넘어서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통합 언어” 또는 “공통 연결 포트”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MCP의 등장 배경과 중요성 기존에는 LLM이 외부 도구 또는… Read More »

Gemini CLI

구글 제미니 CLI 설치 및 활용법 구글 제미니(Gemini) CLI는 개발자가 터미널 환경에서 제미니 모델과 직접 소통하며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CLI는 특히 Node.js 20 이상 환경에서 구동되므로, 사용 전 Node.js 버전을 확인해야 합니다. 설치 및 사용 방식 제미니 CLI는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설치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NPX를 이용한 즉시 실행… Read More »